목록2024/02 (5)
oris9
인증 누군가의 신원을 확인 권한 특정 사용자가 가능한 행동을 확인하는 것. 보통 권한 부여는 사용자가 인증된 후 일어남 암호를 그대로 저장하면 안됨 해시함수로 암호를 처리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 (해독불가능한 결과물) 해시함수(임의크기 데이터를 입력하면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를 출력해줌) 암호화 해시함수, 암호화안전해시함수는 단방향 함수임. 역추적이 불가능함. 입력값에 작은변화가 있을 때 출력값에 큰 변화가 생김. 항상 동일한 값이 출력됨 정확히 똑같은 값이 출력될 확률이 매우 낮아야함 느려야함. 그래야 안전 솔트 추가 안전장치 다양한 사이트에서 같은 암호를 쓰는 사람이 많이 때문에 .. 역방향조회테이블을 만들지못하게하는방법임 시작이나 끝에 솔트를 추가해서.. 솔트는 따로 기록해둬야함. 솔트는 무작위성 ..
Express 라우터 : 라우터를 개별파일이나 객체로 분리하고 그룹화해 복잡한 앱의 구조를 정리 app.get('', (req, res) => { res.cookie('name', 'value') res.send('OK SENT YOU A COOKIE!!') } $ npm install cookie-parser (쿠기 파싱이 express 또는 그 패키지의 자체기능을 설정되어있어서 express밖에서 쓸려면 설치해줘야함) 서명된 쿠키 : 무결성(데이터가 변함없는지), 유효성확인 (암호화가아님) res.cookie('name', 'value', {signed: true} - 일반 쿠키와 서명된 쿠키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req.cookies로는 서명된 쿠키를 확인할 수 없음. req.signe..
*** $ show dbs $ use 이름 $ show collections $ db.(컬렉션이름).find() $ db.reviews.deleteMany({}) //db전체삭제 *** //pull 연산자: mongo배열에서 삭제하는 연산자, 가져온 ID와 일치하는 리뷰를 꺼내는데 데이터파일 시드하기 node seeds/index.js (몽구스)db.campgrounds.find() [ Express 설치 방법 ] 터미널에서 내가 설치할 경로를 잡아두고 다음과 같이 입력 `npm install --save express` nodemon 설치할 때와 다르게 --save dev가 아니라 --save인 이유는 프로덕션 의존성 때문이다. dev를 붙이지 않음으로 개발 중에만 사용하는 툴 뿐만 아니라 우리가 전달..
기본 명령어 1) 버전 확인 (노드 버전 확인) $ node -v (npm 버전 확인) $ npm -v * npm은 node 설치하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음 2) 설치 (지역설치) $ npm i 설치하고싶은패키지네임 (전역설치) $ npm i -g 설치하고싶은패키지네임 3) 설치된 npm 리스트 확인하기 프로젝트 내 설치된 npm 리스트와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 npm ls (특정 패키지만 확인하기) $ npm show 패키지네임 version 파일 안의 package.json : 디렉토리에서 사용된 각종 모듈에 관한 정보를 담고있음. npm init으로 생성가능 (생성안하고 모듈설치시 경고-오류-뜨고 자동으로 생성됨) { ... "dependencies": { "color..

CSS 변수 선언 및 호출 CSS에서 변수의 이름을 지정할 때는 변수 맨 앞에 -- 를 붙여주어야 한다. 그리고 변수를 호출해 사용할 때는 var(변수명)형식을 사용한다. :root { --main-font-color: #000f22; /* CSS 전역 변수 선언 */ } div { color: var(--main-font-color); /* CSS 변수 사용 */ } CSS 변수 선언 스코프 전역 변수 스코프 CSS의 :root 의사클래스는 문서 트리의 루트 요소를 선택한다. 즉, HTML 문서의 루트 요소는 요소이므로, :root와 html은 같다고 보면 된다. 보통 이 영역에 css 변수를 선언해 사용한다고 보면된다. 자바스크립트로 따지면 일종의 전역 변수 영역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root에서 ..